지난밤 뉴욕증시가 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등으로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29.20(+1.88P, +0.26%)로 상승 출발. 시가를 고점으로 낙폭을 줄여 하락 전환. 장 초반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이다 하락세를 보였고, 724선까지 하락하기도 했음. 이후 낙폭을 줄여 오전 한때 726선을 회복하기도 했으나 오후 들어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했음. 장 후반 721.96(-5.36P, -0.7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장 막판 낙폭을 다소 줄여 722.64(-4.68P, -0.64%)에서 거래를 마감. 연준의 기준금리인하 기대감 등이 지속됐으나 외국인이 순매도에 나서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아울러, 미국과 이란 사이에 갈등이 지속된 점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음.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589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509억, 235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에스에프에이(-3.69%), 제넥신(-2.43%), 아난티(-2.31%), SK머티리얼즈(-1.94%), 헬릭스미스(-1.79%), 스튜디오드래곤(-1.66%),신라젠(-1.56%) 등이 하락. 반면, 케이엠더블유(+10.96%), 휴젤(+1.73%), 메디톡스(+1.43%)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종이/목재(-2.28%), 기계/장비(-1.33%), 인터넷(-1.30%), 음식료/담배(-1.24%), 기타제조(-1.16%), 오락문화(-1.14%), 기타서비스(-1.12%), 의료/정밀기기(-1.07%), 디지털컨텐츠(-1.03%), 정보기기(-0.99%), 방송서비스(-0.97%) 등이 하락. 반면, 통신장비(+2.83%), 금융(+0.90%), 건설(+0.45%) 등은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22.64P(-4.68P/-0.64%)
3. 코스피 지수분석
코스피 3분봉코스피 분봉
- 코스피시장 -
코스피시장, 기관 순매도에 나흘만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등으로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132.38(+1.09P, +0.05%)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2,132.68(+1.39P, +0.0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하락 전환했고, 2,121선까지 하락하기도했음. 이후 낙폭을 줄였고, 오전 한때 2,130선을 회복하기도 했으나 오후 들어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재차 확대. 장 막판 2,120.15(-11.14P, -0.5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했으나 낙폭을 만회한 끝에 결국 2,125.62(-5.67P, -0.27%)에서 거래를마감. 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등이 지속됐으나 기관이 순매도에 나서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공습을승인한 뒤 취소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된 점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음. 다만, 내주 美中 고위급 회담과 G20 정상회의 등을 앞두고 지수의 낙폭은 다소 제한됐음.
일본, 홍콩이 하락했고, 대만, 중국이 상승하는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는 혼조.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9원 상승한 1,164.0원을 기록.
수급별로는 기관이 1,322억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206억, 125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개인이 1,069계약 순매도,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1,024계약, 208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하락이 우세. LG생활건강(-3.54%), SK하이닉스(-2.08%), 삼성SDI(-1.89%), LG화학(-1.14%), 삼성물산(-1.04%), 셀트리온(-0.70%), SK(-0.62%), KB금융(-0.33%) 등이 하락. 반면, NAVER(+1.35%), 한국전력(+1.35%), 현대모비스(+0.89%), POSCO(+0.62%), SK텔레콤(+0.58%), 삼성전자(+0.44%)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건설(-1.57%), 운수창고(-1.57%), 비금속광물(-1.39%), 화학(-1.03%), 유통(-0.91%), 종이/목재(-0.80%), 의약품(-0.49%), 섬유/의복(-0.41%), 은행(-0.36%) 등이 하락. 반면, 증권(+0.87%), 전기가스(+0.53%), 철강/금속(+0.49%),서비스(+0.40%), 기계(+0.37%) 등은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