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콩이아빠의 생활정보

728x90

미국증시,미국섹터,세계증시,뉴욕증시,다우지수,코스피,코스닥,특징섹터,특징종목,주식뉴스

 

 

 

     

 

 

1. 미국증시,니케이지수,세계증시

미국증시,니케이지수,세계증시

뉴욕증시 마감시황

7/5(현지시간) 뉴욕증시 혼조, 다우(-0.42%)/나스닥(+1.75%)/S&P500(+0.16%) 경기 침체 우려 지속(-),美 국채금리 급락(+)

이날 뉴욕증시는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된 가운데, 큰 변동성을 보이다 혼조세로 장을 마감. 다우지수가 0.42%하락한 반면, S&P500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16%, 1.75% 상승. 특히, 美 국채금리 하락 속 나스닥지수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경기 침체 우려가 연일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독립기념일 연휴 직후인 이날 美 3대 지수는 장초반 경기 침체 우려 속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 최근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 나우’가 2분기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전기 대비 연율 기준)이 -2.1% 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한 가운데, 2개 분기 연속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GDP 나우’는 대표적인 경제 예상 모델로 1분기 GDP 성장률 -1.6%에 이어 2분기마저 성장률이 마이너스대로 떨어지면 경기 침체가 현실화됨.
아울러 美 10년물과 2년물 국채금리가 역전되면서 경기 침체 가능성이 더욱 가속화되는 모습. 2년물 금리와 10년물 금리는 이날 2.776~2.965%, 2.780~2.978%에서 각각 움직이면서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했음. 금리 역전 현상은 올해 들어 3월과 6월에 이어 세 번째임. 다만, 국채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심리가 살아났으며, 이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큰 폭의 반등세를 기록.

시장에서는 이번주 발표되는 FOMC 의사록, 6월 고용동향보고서 등을 비롯한 주요 경제 지표와 경기 둔화나 인플레이션 정점에 관련된 기업 코멘트 등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 이날 발표된 美 5월 공장재 수주는 전월대비 1.6% 증가해 시장 예상치 0.5%를 크게 웃돌았음.

한편, 미국이 중국에 대한 고율의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됐음. 전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이번 주 일부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고율 관세 인하를 발표할 수 있다고 보도했으며,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과 류허 중국 부총리가 영상 통화를 나눴다는 소식도 전해짐.

이날 국제유가는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폭락.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8.93달러(-8.24%) 폭락한 99.50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낙폭은 지난 3월9일 이후 최대치로, 종가기준 100달러가 붕괴되며 4월25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 씨티그룹은 이날 보고서에서 경기 침체가 초래될 경우 유가가 배럴당 65달러까지 급후퇴할 수 있다고 전망했음.

이날 채권시장은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속 강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달러 강세 등에 큰 폭 하락.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린 가운데 소프트웨어/IT서비스, 소매, 경기관련 소비재, 제약, 개인/가정용품, 경기관련 서비스업, 의료 장비/보급, 기술장비 업종 등이 상승한 반면, 에너지, 복합산업, 유틸리티, 보험, 금속/광업,운수 업종 등은 하락. 종목별로는 美 국채금리 하락 속 애플(+1.89%), 마이크로소프트(+1.26%), 아마존(+3.60%), 알파벳A(+4.16%), 메타(+5.10%), 넷플릭스(+3.30%), 테슬라(+2.55%), 엔비디아(+3.04%) 등 대형 기술주들이 동반 상승. 반면, 국제유가 폭락 속 엑슨 모빌(-3.13%), 셰브론(-2.63%), 마라톤오일(-6.30%), 체사피크 에너지(-7.47%) 등 에너지 관련주들이 하락했고, 포드(-1.06%)는 2분기 판매 대수가 예상보다 더딘 증가세를 보였다는 소식에 하락. 대표적 경기 민감주인 디어(-3.15%)와 캐터필러(-2.54%)는 동반 하락하면서 연중 최저치를 기록.

다우 -129.44(-0.42%) 30,967.82,

나스닥 +194.39(+1.75%) 11,322.24,

S&P500 3,831.39(+0.16%),

필라델피아반도체 2,477.64(+0.78%)

 

 

 

2. 미국시장 섹터시황

7/5(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속 美 국채금리 급락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엇갈린 모습. 美 국채금리 하락 속 애플(+1.89%) 등 모바일, 마이크로소프트(+1.26%) 등 컴퓨터, 아마존(+3.60%), 알파벳A(+4.16%), 메타(+5.10%) 등 인터넷, 넷플릭스(+3.30%) 등 미디어, 테슬라(+2.55%) 등 전기차, 엔비디아(+3.04%) 등 반도체 등 대형 기술주 관련 테마들이 동반 상승. 이 외 쿠팡(+6.91%) 등 전자상거래, 페이팔(+4.20%) 등 전자결제, 코인베이스(+12.99%) 등 암호화폐, 로블록스(+14.03%) 등 게임, 월마트(+1.32%) 등 유통, 니콜라(+9.96%) 등 수소차 등의 테마가 상승.

반면, 국제유가 폭락 속 엑슨 모빌(-3.13%), 셰브론(-2.63%) 등 정유, 린데(-5.19%) 등 화학 테마가 하락했고, 대표적 경기 민감주인 디어(-3.15%)와 캐터필러(-2.54%) 등 산업재와 US스틸(-4.97%) 등 철강, 뱅크오브아메리카(-1.01%) 등 은행, 메트라이프(-2.10%) 등 보험 등의 테마가 하락. 이 외 코카콜라(-1.71%) 등 음식료, 솔라엣지(-1.82%) 등 신재생에너지, 듀크 에너지(-2.99%) 등 전력, 발레(-2.54%)등 발레 등의 테마가 하락. 금 가격 하락 속 뉴몬트 마이닝(-2.39%) 등 금(金) 테마도 하락.


관련 테마분석

 
2차전지
 2차전지(Secondary battery)란 한 번 쓰고 버리는 배터리가 아닌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의미함. 즉,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임. 2차전지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모바일/휴대용 IT기기와 전기차/하이브리드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 히스토리

 ☞ 2022-07-04 한-중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차이 확대 소식 등에 하락
 ☞ 2022-06-29 LG에너지솔루션, 1.7조원 규모 美 단독공장 건설 전면 재검토 소식 및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약세 등에 하락
 ☞ 2022-06-27 블룸버그 통신, 현대차 美 전기차 시장 지배 평가 등에 상승(주도주 : 코스모화학, 엔에스, 필옵틱스, 에코프로비엠)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히스토리

 ☞ 2022-07-01 美 마이크론 향후 실적 부진 예고 속 반도체 경기침체 우려 확산에 하락
 ☞ 2022-06-30 씨티그룹의 마이크론 목표가 하향 소식 속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급락 등에 하락
 ☞ 2022-06-29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등에 하락




인터넷 대표주
 국내 인터넷 서비스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인터넷산업 대표기업군. 이들 소수 업체들이 상위 사업자군을 형성하며, 시장 지배력을 더욱 키워나가고 있는 상황임. 이중 구글에 이어 네이버가 국내 포털 시장 점유율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광고주들의 특성상 많은트래픽이 모이는 상위 포털 업체에 광고가 집중되는 특성이 있음.

- 히스토리

 ☞ 2022-06-24 플랫폼 규제 혁신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주도주 : NAVER, 카카오)
 ☞ 2022-06-22 한국은행 금리인상, 빅스텝 가능성 제기등에 하락
 ☞ 2022-06-15 美 연준 자이언트스텝 우려 및 한국은행 7월 기준금리 추가 인상 우려 부각 등에 하락




정유
 원유 수출입, 운송 및 저장과 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을 생산하는 종목군.

-히스토리

 ☞ 2022-07-04 러시아 원유 생산량 500만배럴 감산시 국제유가 380달러까지 상승 전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주도주 : S-Oil)
 ☞ 2022-07-01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국제유가 급락 속 하락
 ☞ 2022-06-30 국제유가 하락 영향 등에 하락




은행
 은행은 기업, 가계 등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예금이나 금융채 등의 형식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자금이 필요한 각 경제주체에 자금을 공급하는 자금의 중개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민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은행업은 일반기업과 달리 고도의 공공성이 요구되는 사업임. 이 밖에 환업무, 지급보증 등 광범위한 금융업무를 취급하고 있고, 국고수납, 보호예수 등 은행법에서 정하는 각종 부수업무를 취급하고 있으며, 신탁업무, 신용카드업무, 방카슈랑스 등 비은행 업무도 일부 취급하고 있음.

- 히스토리

 ☞ 2022-07-04 2분기 순이익 전분기 대비 감소 전망 등에 하락
 ☞ 2022-07-01 이익 개선폭 확대 전망 및 저가메리트 등 보유 분석에 상승(주도주 : 신한지주,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JB금융지주)
 ☞ 2022-06-22 대출금리 인하 압박 등에 하락

 

 

 

3. 특징섹터

특징 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게임 산업에대한 정부 우호적 입장 기대감 등에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국내 주요 대기업, 버추얼스튜디오 시장 진출 본격화 소식 등에메타버스(Metaverse)/가상현실(VR) 테마 상승.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15주 만에 상승세 전환 소식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국제유가 폭락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 테마 상승.

▷이 외에 음원/음반, 유전자 치료제/분석, 엔터테인먼트, 광고, 영상콘텐츠, 교육/온라인 교육, 화장품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농산물 가격 하락 소식 등에 사료/농업/비료/음식료업종 테마하락.

▷저점매수 시기상조 분석 등에 건설 대표주/건설 중소형 테마 하락.

▷국내증시 부진 및 2분기 증권업종 실적 부진우려 등에 증권 테마 하락.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으로 국제유가 폭락에 정유/LPG(액화석유가스), 셰일가스 및 조선/조선기자재 테마 하락.

▷국제유가 폭락 속 유가 상승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촉진 기대감 약화 등에 태양광/풍력에너지 테마 하락.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 하락.

▷정부의 대출금리 인하 압박 속 대출금리인하 행렬 등에 은행 테마 하락.

▷이 외에 전선, 자원개발, 해운, 전력설비, 자동차 대표주, 원자력발전, 손해보험, 생명보험, 남북경협, 타이어,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게임 산업에 대한 정부 우호적 입장 기대감 등에 상승
▷SK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게임 산업에 대한 정부의 우호적인 입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지난 7월1일 한국게임산업협회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참석해 중국 판호 발급 확대를 위해 외교부및 경제 부처와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게임은 질병이 아니다"라고 밝힌 만큼 산업 육성 의지를 보였다고 언급. 특히, 업계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게임 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없었기 때문에 산업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을 우려했지만, 판호 발급, 52시간 근무제 등 적극적인 움직임이 향후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다올투자증권은 국내 상위권 모바일 게임 매출 눈높이가 낮아지는 와중에 글로벌 모바일 지출액의 견조함을 확인했다고 언급. 이에 국내 매출 비중이 낮은 크래프톤과 더블유게임즈의 상대적 매력도가 부각됐다고 분석.

▷한편, 코로나19로 외출이 줄어들고 집안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게임 이용시간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에 모비릭스, 네오위즈, 넥슨게임즈, 위메이드, 크래프톤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가 상승.
메타버스(Metaverse)/가상현실(VR) 국내 주요 대기업, 버추얼스튜디오 시장 진출 본격화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올해 들어 국내 주요 기업 간 버추얼 스튜디오 사업 진입 경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전해짐. CJ ENM은 지난 5월 경기도 파주 ‘CJ ENM 스튜디오 센터’ 안에 연면적 1,650㎡ 규모의 ‘버추얼 프로덕션 스테이지’를 열었으며, 지난 6월에는 SKT가 성남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연면적 3,050㎡ 규모의 ‘팀 스튜디오’를 설립했다고 알려짐. 삼성전자는 CJ ENM의 버추얼 프로덕션 스테이지에 LED 사이니지(디스플레이) '더 월'을 공급했으며, LG전자는 지난 2월 브이에이코퍼레이션과 손잡고 연구개발(R&D) 센터를 열고 버추얼 스튜디오에 최적화된 LED 디스플레이 개발에 나선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한편,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내 실감형 콘텐츠 시장 규모가 2020년 2조8,000억원에서 올해 11조7,000억원으로 약 5배가량 커질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이노뎁, 덱스터, 엔피, 맥스트, 스코넥, 카카오, 알체라 등 메타버스(Metaverse)/가상현실(VR) 테마가 상승.
코로나19 관련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15주 만에 상승세 전환 소식에 상승
▷금일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9,371명을 기록. 국내 발생 확진자는 1만9,147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224명임. 이틀 연속 2만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전일(1만8,147명)보다 1,224명 증가했고 지난주 수요일(1만463명) 대비로는 8,908명 급증한 수치임.

▷이상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2차장(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주 하루평균 확진자 수는 8,549명으로 14주간 이어진 감소세가 상승세로 반전했다"며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에 대비해 병상 확보, 방역 점검 강화를 통해 의료와 방역 대응체계가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CJ 바이오사이언스, 마이크로디지탈, 엔지켐생명과학, 랩지노믹스, 젠큐릭스 등 코로나19 관련주가 상승.
항공/저가항공사(LCC) 국제유가 폭락 등에 상승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전거래일보다 8.93달러(-8.24%) 하락한 99.50달러에 거래 마감.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브렌트유 9월 인도분 선물가격도 9.45% 폭락한 배럴당 102.77달러를 기록.

▷전일(현지시간) 美 채권시장에서 2년물 국채수익률과 10년물 국채수익률이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더욱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노무라 증권은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한국, 호주 등 전 세계 주요국들이 12개월 내 경기침체에 돌입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음. 또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속 달러화 가치가 2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점도 국제유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 속 진에어,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 항공/저가항공사(LCC) 테마가 상승.
사료/농업/비료/음식료업종 농산물 가격 하락 소식에 하락
▷전일(현지시간 16시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12월물 옥수수 선물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4.77% 하락한 부셸(BSH) 당 578.50달러에 거래됐으며, 11월물 대두 선물 가격도 5.68% 하락한 부셸(BSH) 당 1,316달러에서 거래됐음.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가격이 치솟았던 밀, 옥수수, 대두 등 곡물 가격이 1분기 말보다 하락하며 안정세에 들어선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고려산업, 한탑, 한일사료, 누보, 효성오앤비 등 사료/농업/비료/음식료업종 테마가 하락.
건설 대표주/건설 중소형 저점매수 시기상조 분석 등에 하락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달 건설 섹터의 수익률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며, 국내 주택건축 원가상승에 따른 실적 하향 및 착공/분양 감소 우려 영향이 반영됐다고 분석. 다만, 해외 익스포저가 높은 종목이 원전, 중동발 투자(네옴시티)등으로 주가가 반등세를 보이기도 했다고 밝힘.

▷건설업종 전반적으로 착공/분양 감소 및 추가적 원가 상승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부동산 가격 하락 심리와 미분양 발생 우려, 금리 상승으로 시행사 개발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고 밝힘. 이에 진정한 바닥은 아직 20%정도 남은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이에 금일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범양건영 등 건설 테마가 하락.
증권 국내증시 부진 및 2분기 증권업종 실적 부진 우려 등에 하락
▷경기 침체 우려 속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금일 코스피지수가 1년8개월만에 종가기준 2,300선이 붕괴된 채 거래를 마감. 코스닥지수도 외국인 순매도 등에 반등 하루만에 재차 하락.

▷KB증권은 지난 4일 보고서를 통해 2분기당초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 전망치와 일평균거래대금 전망치 하향, Trading 및 상품 손익 수익성 하향을 반영하여 커버리지 증권사의 2022년/2023년 이익 전망치를 하향한다고 밝힘. 2022년과 2023년 이익 전망치를 삼성증권 -25.6%, -15.2%, 미래에셋증권 -10.3%, -3.0%, NH투자증권-39.1%, -16.2%, 한국금융지주 -12.6%, -10.3%, 키움증권 -21.7%, -5.9% 등으로 하향. 커버리지 5개 증권사의 2022년 2분기 합산 연결 지배주주 기준 순이익은 5,512억원으로 전분기대비 38.3% 감소, 전년동기대비 60.7% 감소할 것으로 전망. 특히, 6월 금리 급등이 증권사 이익 감소에 핵심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며, 2분기 5개사 합산 ROE는 6.3%로 전분기대비 3.9%p, 전년동기대비 11.9%p 하락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증권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은 Neutral로 하향다고 설명.

▷이에 금일 미래에셋증권, 메리츠증권, 삼성증권, 키움증권 등 증권테마가 하락.
정유/LPG(액화석유가스) 등 국제유가 폭락에 하락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폭락. 5일(현지시간) 美 채권시장에서 2년물 국채수익률과 10년물 국채수익률이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더욱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노무라 증권은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한국, 호주 등 전 세계 주요국들이 12개월 내 경기침체에 돌입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음. 또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속 달러화 가치가 2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점도 국제유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는 모습.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8.93달러(-8.24%) 하락한 99.50달러에 거래를 마감.

▷이에 금일 S-Oil, GS, SK이노베이션,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등 정유/LPG 테마와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주가 하락. 아울러 유가 폭락 속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촉진 기대감 약화 등에 현대에너지솔루션, 한화솔루션, OCI, 효성중공업, 씨에스윈드, 삼강엠앤티 등 태양광/풍력에너지 테마, 국제유가 하락이 경기침체의 신호로 해석되면서 세아제강, 동국제강, POSCO홀딩스, 현대비앤지스틸, 동일제강 등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테마도 하락.



 

 

 

 


4. 특징종목 (코스닥시장)

특징 종목 이 슈 요 약
진매트릭스
(109820)
7,470원
(+24.92%)
원숭이두창 진단키트 2종 개발 완료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원숭이두창 진단키트 신제품 2종을 개발 완료했다고 밝힘. 이번에 개발된 2종의 제품은 원숭이두창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네오플렉스 MPX’와 원숭이두창 및 대상포진을 동시에 감별 진단할 수 있는 ‘네오플렉스 MPX-VZV’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원숭이두창 진단키트 신제품은 검사 소요 시간을 40 분대로 단축시켜 검사에 1~2시간이 소요되는 기존 제품 대비 속도와 편의성을 대폭 개선하면서도 높은 검사 정확도를 구현한 것이 특징”이라며 “현장에서 보다 빠르게 감염 여부를 판별할 수 있어 신속한 방역 조치 및 역학 조사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밝힘.
케이피에프
(024880)
7,000원
(+13.27%)
올해 호실적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은 8,278억원(+58.4% YoY), 영업이익은 414억원(+3,350.0% YoY)으로 매우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건설 및 토목, 중장비, 신재생에너지 등 전방산업 빅사이클 초입에 있는 파스너 제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유럽의 반덤핑 조치로 동사 베트남 생산법인의 수주 및 생산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자회사 TMC 또한 해운시황 개선에 따른 글로벌 물동량 및 발주량 증가로 호황의 초기 국면을 맞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전방산업 성장 사이클 초입에서 본격적인 실적 성장이 예상되는 동사의 2022년 예상 PER은 3.5배로 매우 저평가되어 있고 기업가치의 재평가가 시급하다고 판단.
고려신용정보
(049720)
11,750원
(+10.85%)
채권추심 시장 내 독보적인 경쟁력 확보 분석 등에 급등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국내 채권추심업체 수는 총 23개로 수년간 유지 중인 가운데, 채권추심업은 현행법상 금융기관 50% 이상 출자, 최소자본금 30억원 등의 요건을 충족 후 금융위 허가를 취득해야 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다고 밝힘. 금융기관 산하 채권추심업체는 대부분 캡티브 물량을 소화하는 반면, 동사는 영업에 제한요인이 없어 고객군이 다양하고 그만큼 잠재고객도 많다고 볼 수 있다고 언급.
▷진입장벽 강화 속 채권추심 시장 내 동사의 시장점유율은 ‘10년 9.0%에서 ‘21년 17.2%로 지속 확대되고 있으며, 같은 기간 동사의 채권추심 매출액은 연평균 +6.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설명. 또한, 채권물량 확보를 위한 영업인력 및 채권추심을 수행하는 추심인력 확보가 채권추심업에서의 핵심 경쟁력인데 업계 1위인 동사는 채권 물량 확보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통해 우수인력 확보→회수율 확대→고객 증가→우수인력 추가 유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여 시장내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었다고 판단.
광무
(029480)
2,875원
(+7.08%)
엔켐과 91.80억원 규모 리튬염(LiPF6) 공급계약 체결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주식회사 엔켐과 91.8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8.52%) 규모 공급계약(리튬염(LiPF6)) 체결(계약기간:2022-07-05~2022-10-31) 공시.
한독크린텍
(256150)
11,400원
(+7.04%)
정부, 활성탄 긴급수급조절물자 지정 속 국내 정수기용 활성탄필터 시장 점유율 1위 사실 부각에 강세
▷지난 1일 정부는 활성탄을 긴급수급조절물자로 지정하고 조달청을 통해 관련 비축 물량을 늘리기로 결정했음. 정부가 긴급수급조절물자를 지정한 것은 마스크, 요소수에 이어 활성탄이 세 번째인 것으로 전해짐. 활성탄은 수돗물 정수 처리나 대기 정화 등에 쓰이는 고 흡착성 물질로 현재중국에서 대부분의 물량을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정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활성탄의 대외 의존도가 높고 사실상 중국에 의존하고있다 보니 선제적으로 재고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봤다고 설명했음. 이러한 소식 속 동사가 국내 정수기용 활성탄필터 시장 점유율 1위인 점이 시장에서 부각되는 모습.
와이지엔터테인먼트/YG PLUS 블랙핑크, 내달 컴백 소식에 강세
▷와이지엔터테인먼트는 언론을 통해 "블랙핑크는 현재 새 앨범 녹음 작업 막바지 단계라며, 이달 중 뮤직비디오를 촬영해 다음 달 신곡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힘. 블랙핑크가 완전체로 컴백하는 것은 2020년10월 정규 1집 '디 앨범'(THE ALBUM) 이후 1년10개월 만임.
▷아울러 와이지엔터테인먼트는 "전 세계 팬과 교감하기 위해 컴백과 맞춰 연말까지 K팝 걸그룹 사상 최대 규모의 월드투어에 나설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와이지엔터테인먼트와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종속회사인 YG PLUS가 시장에서 부각.
[종목] : YG PLUS,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에치에프알
(230240)
26,250원
(+6.28%)
2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강세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86억원(+49.6% YoY), 86억원(흑전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82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국내 유선 장비와 WiFi AP 장비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미국 통신사향 프론트홀 장비 공급이 확대되며 2022년 상반기 영업이익(138억원)은전년동기(-71억원) 대비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지난 2월 NEC 자회사 NESIC과 5G 솔루션 총판 계약을 체결하면서 특화망(Private 5G) 관련 매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으며, 국내 역시 3Q22부터 정부 주도의 ‘이음 5G’ 사업들이 구체화될 계획이고 특화망 관련 매출은 연간 1천억원 규모까지 확대 될 것으로 전망. 또한, 동사의 주가는 2022년 예상 실적 기준 PER 7.9배로 5G 무선 통신장비 업체들 평균(15.9배) 대비 현저한 저평가 수준이라고 밝힘.
스코넥
(276040)
11,850원
(+5.33%)
도미너스게임즈와 블록체인·NFT 메타버스 사업 위한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 전문 퍼블리셔 도미너스게임즈와 블록체인 및 NFT 메타버스 사업 확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동사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VR) 콘텐츠 개발 기술과 도미너스게임즈의 지적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IP) 및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NFT) 개발 노하우를 접목할 예정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황대실 대표는 "도미너스게임즈와의 협업을 통해 블록체인·NFT 연구를 지속해 사용자가 메타버스 공간에서 새롭고 다채로운 경험을 지속해 나갈 수 있도록 관련 시장을 개발해 나갈것"이라고 밝힘.
쏠리드
(050890)
4,990원
(+5.05%)
주가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영국/미국 시장 수출 본격화로 인해 향후 2년간 장기 실적 전망이 낙관적이고, 수주/매출 전망을 감안할 때 향후 이익 급증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코스닥 급락 영향으로 인해 주가 하락이 과도하게 나타났다고 밝힘.
▷이어 최근 5G 투자가 재개되는 상황에서 해외 뿐 아니라 국내조차도 인빌딩 커버리지가 극히 협소한 형국이고 고주파수 활용도, 5G+로의 진화 측면에서 인빌딩 투자가 중요해질 것으로 보여 2022~2023년엔 고주파수에 특화된 스몰셀/중계기 관련주인 동사가주목받을 것으로 전망. 진입 장벽이 높은 독과점적 시장이며, 고마진 산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현재 Multiple은 과도하게 낮아 저가 매수기회로 판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5,000원[유지]
펩트론
(087010)
10,000원
(+4.28%)
뇌질환 치료제 ‘프리센딘’ 호주 임상3상 IND 승인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벡스와 공동개발중인 뇌혈관 치료제 프리센딘(Presendin)에 대한 임상3상 시험 시작 승인 및 임상 시험 통지(CTN) 계획 허가를 받았다고 밝힘.
▷동사 관계자는 "영국에 이어 호주에서도 임상에 진입함에 따라 동사의 임상 의약품 공급에 따른 수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프리센딘에 대한 글로벌 국가들의 임상승인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미국 FDA 임상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최대한 인벡스사와 협력해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힘.
아셈스
(136410)
13,450원
(+3.46%)
신규사업 본격화 전망 등에 상승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부터 신규사업이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 특히, 주요 고객사와 협업을 통해 Glitter sheet, U-web, AURORA 프린팅, 무수염색사(Waterless dyeing yarn, 친환경 염색 기술) 사업 본격화예정이며, 각 신규 사업은 2022년 ~ 2023년 매출이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동사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분석.
▷한편, 2022 년 1분기 영업실적은 매출액 131.8억원(+34.0%, yoy), 영업이익23.8억원(+47.9%, yoy)을 기록. 글로벌 기업들의 ESG경영 가속화에 따른 무이형지 접착필름, 선루프 원단사업부문 매출 확대가 1분기 호실적 견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흐름은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
차백신연구소
(261780)
6,250원
(+2.80%)
폐암환자 데이터 기반 폐암 진행 조절 메커니즘 제시 소식 속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동사의 전은영박사팀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이기영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폐암환자 유전자 데이터 기반, 폐암 진행에 있어서 Stratifin(SFN) 단백질이 암세포 자가소화작용 활성화를 조절하여 폐암의 성장 및 진행을 조절하는 새로운 분자세포 메커니즘'을 제시했다고 밝힘.
▷연구팀은 다양한 암에 대한 유전자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The Cancer Genome Atlas(TCGA, 암 게놈 아틀라스) 데이터베이스와 연구팀이 보유하고있는 폐암 환자 31명의 유전자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Stratifin(SFN) 발현과 폐암의 발달 및 진행과의 연관성을 분석했으며, 폐암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Stratifin(SFN)이 폐암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법 및 분자세포 분석법을 이용해 분석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전은영 박사팀은 "폐암환자 임상 데이터를 기초연구에 접목한 암 중개연구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향후 폐암 표적치료에 개발에 있어서 미래지향적 임상-기초-산학 간 연구협력의 모델이 될 수 있다"고 밝힘.
동운아나텍
(094170)
8,680원
(+2.36%)
하반기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까지는 실적부진이 지속될것으로 전망되지만, 하반기 중국 매출 재성장세 진입에 따른 실적 턴어라운드를 기대한다고 밝힘. 미·중 분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디어텍의 AP 보급이 시작되고 있어 오포, 비보, 아너 등에 공급이 재개될 것으로 전망. 특히, 중국 카메라모듈 업체를 통해 공급이 재개되고 있어 내년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
▷또한, 갤럭시S, A 시리즈에 이어 폴더블폰 진출도 기대되고 햅틱 Driver IC 사업의 전방시장 다변화를 추진 중이라고 밝힘. 이어 타액 기반 당 측정 진단기기 사업도 순항중이라고 언급.
솔고바이오
(043100)
542원
(+1.50%)
12억원 규모 씨티엘바이오테크 주식 신규 취득 결정에 소폭 상승
▷미국 척추임플란트 기업인 CTL Amedica Corp.에서 한국에 설립한 척추임플란트 3D 프린팅 제조 전문기업의 주식 취득 목적으로 주식회사 씨티엘바이오테크 주식 2,400주를 12.00억원에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21.05%, 취득예정일:2022-07-08) 공시.
아이윈플러스
(123010)
640원
(-9.60%)
계열회사 프로닉스 주식 신규 취득 결정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신규사업 투자 목적으로 주식회사 프로닉스(대한민국) 주식 80,000주를 70.40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28.52%, 취득예정일:2022-07-05) 공시.




 

 

 

 

 

5. 특징종목 (코스피시장)

특징 종목 이 슈 요 약
국제약품
(002720)
5,700원
(+6.15%)
히알루론산 점안제 급여재평가 1차 평가를 앞두고 반사 수혜 기대감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이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안구건조증 히알루론산 점안제 급여재평가 1차 평가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짐. 지난 2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내년도 기등재의약품 급여적정성 재평가 대상으로 히알루론산 점안제를 선정했으며, 급여적정성 재평가를 통해 급여에서 제외되면 사실상 히알루론산 점안제는 시장에서 퇴출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지난달 동사가 안구건조증치료제 레바아이점안액2%와 레바케이점안액을 식약처로부터 허가 받은 점이 시장에서 부각. 동사의 레바미피드 안구건조증 점안제는 히알루론산 점안제를 대체할 수 있어 반사 수혜가기대되고 있음.
LG에너지솔루션
(373220)
370,500원
(+2.49%)
日 이스즈자동차에 1조원 규모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 소식에 소폭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일본 상용차업체인 이스즈자동차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납품한다고 전해짐. 내년부터 4년간 이스즈의 주력 준중형 트럭 엘프 전기차에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으며, 공급 예상규모는 최소 1조원 이상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일본 내 물류 운송용 1t급 전기트럭 시장에서 중국 기업이 존재를 키우면서 이스즈가 위기감을 느꼈다”며 “이스즈는 2~3t급 전기트럭 시장을 노리고 동사와 손을 잡았다”고 분석.
▷이 같은 소식에 동사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부품 관련 계약을 체결한 바 있는 세아메카닉스, 동사에 2차전지 관련 장비를 납품하고 있는 나인테크, 동사에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520㎜ 장볼트를 공급하고 있는 태양금속 등도 시장에서 부각.
▷한편,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3분기부터는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분석. 이어 경기 둔화에 따른 구매력 약화에 대한 효과는 24~25년에나 나타날 것으로 전망. 또한, 적극적으로 미국, 유럽시장을 공략 중이어서 하반기 추가적인 JV 발표 및 신공장 증설 모멘텀이 기대되며, 상해봉쇄 해제와 반도체칩 공급 부족이 완화되면서 업황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매수[유지], 목표주가 : 570,000원 → 520,000원[하향]
영원무역
(111770)
39,500원
(+2.20%)
2분기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932억원(+32%, yoy), 1,523억원(+45%,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OEM 사업부의 수주는 USD 기준 yoy +40%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며, 2분기에도공급 감소에 따른 대형사 MS 상승과 수주 단가 상승으로 동사 수주가 크게 증가하였고 전년동기대비 높은 환율(yoy +12%) 영향으로 OEM 사업부 원화 매출 성장률은 yoy +6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매우 큰 상황이나 동사의 주력 제품인 기능성의류 시장은 여전히 고성장하며 침체 상황을 상대적으로 빗겨갈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동사의 시장 지배력 확대는 소비 둔화 상황에서도 꾸준히 돋보일 것으로 전망.
▷다만, 불확실한 경기 상황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0,000원 → 68,000원[하향]
현대제철
(004020)
32,500원
(-3.70%)
100억원대 사내횡령 의혹 제기에 따른 내부 감사 착수 소식에 하락
▷언론에 따르면, 동사 직원들이 단가 부풀리기 등을 통해 100억원 가량을 횡령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동사가 내부 감사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현재까지 사실로 확인된 바는 아무것도 없다"며, "사실로 확인될 경우 추후 적절한 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힘.
SK아이이테크놀로지
(361610)
81,800원
(-14.35%)
프리미어파트너스, 동사 지분 블록딜 여파에 급락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2대주주인 사모펀드 프리미어파트너스가 보유중인 동사 지분 4.8% 전량에 대한 블록딜 매각에 성공해 2,8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짐.
▷IB업계에 따르면, 전일장 종료 직후 프리미어파트너스는 보유중인 동사 보유지분 전량인 354만788주(4.8%)에 대한 기관 블록딜 수요예측에 돌입했으며, 이후 기관블록딜 수요예측 결과 최하단 밴드인 14%의 할인율이 적용돼 전량 물량이 소화된 것으로 전해졌음. 한편, 이번 블록딜 수요예측은 크레디트스위스(CS)증권과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이 주관한 것으로 전해짐.



 

 

[주식공부]

2020/07/01 - [주식 공부를 합시다] - 주식 - 기술적분석이란?
2019/06/09 - [주식 공부를 합시다] - 주식에서 영업손실이란?[관리종목 지정 목록 포함]
2019/06/06 - [주식 공부를 합시다] - 주식-자본잠식이란?!(19년감사보고서시즌 자본잠식종목)
2019/07/27 - [주식 공부를 합시다] - 주식-전환권행사란?

 

종목정보가 필요하시면 아래 주소를 클릭해주세요^^
 

표준아의 정보

표.준.아의 정보입니다 이세상 모든 정보를 공유해보고자 만들어봤습니다.

wnsvy12.tistory.com

 

뉴스를 보시고 참고가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를 부탁드려요^^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