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제이에스티나 (026040) 3,360원 (+29.98%) |
1 | 윤대통령 UAE 국빈 방문소식 속 김기문 회장 경제사절단 포함 소식에 상한가 |
코콤 (015710) 8,950원 (+29.90%) |
1 |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및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이삭엔지니어링 (351330) 11,150원 (+29.80%) |
1 |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상승 속 삼성엔지니어링에서 수행하는 플랜트 HVAC Control 부문 독점계약 체결 부각에 상한가 |
대명에너지 (389260) 23,150원 (+28.61%) |
태양광에너지 및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GM·포드·구글, 가상발전소 사업 협업 소식에 VPP(가상발전소)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한 점이 시장에서부각되며 급등 | |
디어유 (376300) 34,900원 (+19.52%) |
엔씨소프트 팬덤 커뮤니티 플랫폼 유니버스 인수 결정 소식에 급등 | |
EG (037370) 9,250원 (+19.35%)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및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테마 상승 속 급등 | |
누리플렉스 (040160) 5,910원 (+17.03%) |
GM·포드·구글, 가상발전소 사업 협업 소식 등에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테마 상승 속 급등 | |
제일파마홀딩스 (002620) 16,950원 (+15.31%) |
화이자, 상반기 중 중국서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 생산 및 유통 가능성 언급 소식에 코로나(화이자) 테마 상승 속 자회사 제일약품 상승에 급등 | |
현대에너지솔루션 (322000) 54,000원 (+15.02%) |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과도한 저평가 상태 분석 등에 급등 | |
동양철관 (008970) 1,080원 (+14.16%) |
일본 EPC업체와 배관용 강관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 |
광명전기 (017040) 2,475원 (+13.01%) |
GM·포드·구글, 가상발전소 사업 협업 소식 등에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테마 상승 속 급등 | |
비트나인 (357880) 8,340원 (+12.70%) |
마이크로소프트, '챗GPT' 개발사와 100억 달러 규모 투자 협상 진행 소식 속 과거 MS에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기술 납품 이력 지속 부각에 급등 | |
브리지텍 (064480) 4,980원 (+12.67%) |
마이크로소프트, '챗GPT' 개발사와 100억 달러 규모 투자 협상 진행 모멘텀 지속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
영화테크 (265560) 10,500원 (+11.35%) |
2차전지/전기차 및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
알파홀딩스 (117670) 1,250원 (+10.62%) |
2차전지 리드캡 전문기업 신화아이티 유증 참여 소식 속 급등 | |
SIMPAC (009160) 5,380 원 (+10.13%) |
윤대통령 UAE 국빈 방문 소식 속 최진식 회장 경제사절단 포함 소식에 급등 | |
티라유텍 (322180) 10,800원 (+10.09%) |
정부,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작업 추진 영향 지속 등에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테마 상승 속 급등 | |
MDS테크 (086960) 2,970원 (+9.39%) |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상승 속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지속에 급등 | |
오스템임플란트 (048260) 133,000원 (+9.38%) |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 상승, 중국 VBP 입찰서 최다수량 낙찰 소식 등에 급등 | |
기가레인 (049080) 1,600원 (+9.22%)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및 국내 주요 반도체 업체 주가 반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1월11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美 물가지표 발표를 앞두고 경계감 속 역외 매수세 유입 등에 강보합 마감.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3.2원 하락한 1,241.5원으로 출발. 장 초반 1,239.6원(-5.1원)에서 저점을 형성하기도 했지만, 이내 하락폭을 만회하며 상승세로 돌아서는 모습. 오전중 상승폭을 확대하며 1,250.0원(+5.3원)에서 고점을 형성한 원/달러 환율은 이후 1,247원 선을 중심으로 등락. 오후 장중 상승폭을 축소한 뒤,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결국 1,246.2원(+1.5원)에서 거래를 마감.
미국의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경계감을 보인 가운데, 역외 매수세가 유입되며 원/달 러 환율은 강보합 마감하는 모습. 현지시간으로 12일 미국의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될 예정. 투자자들은 고금리 장기화를 시사한 파월 의장의 연설에도 CPI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12월 CPI는 전년동월대비 6.5% 상승해 전월 7.1% 상승에서 둔화됐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한편, 관세청에 따르면 1월 1∼1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138억6,2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9% 줄어들었으며, 수입액은 201억3,400만달러로 6.3% 증가한 것으로 전해짐. 이에 무역수지는 62억7,2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으며, 이달까지 무역적자가 10개월째 지속될 가능성이 커졌음.
원/달러 : 1,246.2원(+1.5원)
종목정보가 필요하시면 아래 주소를 클릭해주세요^^
표준아의 정보
표.준.아의 정보입니다 이세상 모든 정보를 공유해보고자 만들어봤습니다.
wnsvy12.tistory.com
뉴스를 보시고 참고가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를 부탁드려요^^
[23년 01월 25일]원달러 환율과 주식시세와 코스피지수 (0) | 2023.01.25 |
---|---|
[23년 01월 25일]다우지수와 세계증시와 특징종목 (0) | 2023.01.25 |
[23년 01월 11일]다우지수와 세계증시와 특징종목 (0) | 2023.01.11 |
[23년 01월 10일]원달러 환율과 주식시세와 코스피지수 (0) | 2023.01.10 |
[23년 01월 10일]다우지수와 세계증시와 특징종목 (0) | 2023.01.10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